6월 7일 오픈, 항공권 없이 떠나는 열대 휴양지 브램튼 소재, 15개 이상 슬라이드와 대형 풀 보유 버블 파티·DJ·야외 영화까지, 이벤트 시리즈로 눈길 플래티넘 패스 할인중, 무제한 입장·주차 무료
사진-웻앤와일드 제공

CKN뉴스
news@cknnews.net
0개의 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이민
캐나다 신규 유학생 70% 급감 …취업 비자도 절반 수준으로
캐나다 신규 유학생 수가 급격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이민·난민·시민권부(IRCC)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 발급된 신규 유학허가증(Study Permit)은 11,235건이었으나 이후 크게 하락했다. 1월부터 6월까지 발급된 유학허가증은 총 36,417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25,034건에서 약 70%인 88,617명이 감소했다. 특히 3월 유학허가증 발급 건수는 3,819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6,875건보다 큰 폭으로 줄었다. IRCC는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국제 학생 유입을 캐나다의 수용 능력에 맞게 조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유학생 수 급감은 교육 현장에 직격탄이 되면서 최근 브리티시컬럼비아(B.C.)의 한 대학은 학생 수 감소를 이유로 추가 인력 감축을 발표하기도 했다. 유학생 축소와 함께 신규 취업 비자(Work Permit) 발급도 큰 폭으로 줄었다. 지난해 상반기 신규 취업 비자는 245,137건이었으나 올해 같은 기간에는 119,234건에 불과했다. 신규 노동자가 125,903명 줄어 전년 대비 51% 감소한 셈이다. 향후 유학생과 임시 외국인 노동자 수는 더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마크 카니(Mark Carney) 총리는 지난 5월 “주거 문제 완화를 위해 유학생과 임시 노동자 수를 제한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캐나다의 영주권자 수 역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IRCC가 지난해 발표한 3개년 이민 계획에 따르면 올해 목표치는 39만5천 명이다. 지난 7월 31일까지 이미 246,300명이 신규 영주권을 취득해 목표달성이 무단할 것으로 예상된다. IRCC는 “캐나다 정부는 이민을 지속 가능한 수준으로 회복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다”며 “이민 시스템은 국가적 자부심이자 경제적 활력의 원천으로 공공 신뢰 회복과 균형 잡힌 시스템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인단체
토론토 ‘2025재외동포 네트워크’ 개최… 한인사회 소통과 화합의 장
광역토론토지역(GTA) 한인사회 화합과 교류를 위한 ‘2025 재외동포 네트워크’ 행사가 오는 9월 6일(토)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토론토 쏜힐(Thornhill)에 위치한 베이뷰 글렌 교회(Bayview Glen Church, 300 Steeles Ave. E.)에서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캐나다한인여성회(KCWA)가 주최하고, 재외동포청과 주토론토대한민국총영사관이 후원한다. ‘2025 한인동포의 날’을 기념해 마련된 이번 네트워크 행사는 토론토 한인사회의 단체와 기관들이 한자리에 모여 정보를 공유하고 교민 간 소통을 강화하는 자리가 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30여 개 한인 단체·기관·동호회가 참여해 각 부스를 운영한다. 교민들은 현장에서 생활·복지·문화 등 유익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다양한 공연과 게임, 경품 추첨도 함께 즐길 수 있다. 주최 측은 “이번 네트워크 행사는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세대를 아우르는 교류와 화합의 장이 될 것”이라며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해 특별한 시간을 함께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행사는 무료로 진행되며 사전 등록 없이도 누구나 입장이 가능하다.
한인단체
KCSF “솔 갈라 2025” 조기예매 마감 '본격 티켓 판매' 돌입
캐나다한인장학재단(KCSF)은 오는 10월 18일(토) 델타호텔 SOCO 연회장에서 열리는 연례 자선 갈라 ‘솔 갈라 2025’의 조기예매가 지난 8월 31일(일)부로 성황리에 마감됐다고 밝혔다. KCSF는 매년 300명 이상이 참여하는 본 행사를 통해 캐나다 한인 사회의 리더와 후원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차세대 장학생을 지원하는 대표적 기금 모금의 장으로 자리매김해왔다. 올해 주제는 “Harmonie en Fleurs”(꽃처럼 피어나는 조화로움)로, 현대적 프랑스 가든파티에서 영감을 받아 우아하고 세련된 분위기로 꾸며진다. 행사 이름 ‘솔(Sol)’은 순우리말 ‘소나무’에서 착안했으며, 한인 공동체의 끈기와 장기적 비전, 세대 간 연계를 상징한다. 행사 당일에는 블랙타이 옵셔널 드레스 코드 아래, 고급 만찬과 라이브 공연, 자선 경매와 추첨 이벤트가 진행된다. KCSF는 2025년 한 해에만 전국 대학생 34명에게 총 132,500달러의 장학금을 수여했으며, 지금까지 950명 이상의 장학생을 지원해왔다. KCSF는 “조기예매 기간 동안 큰 관심을 보여주신 동포 사회와 후원자들에게 감사드린다”며 “앞으로도 장학사업과 리더십 개발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티켓 일반 판매와 함께 골드(1만 달러), 실버(5,000달러), 브론즈(3,500달러), 테이블(3,200달러), 커뮤니티(800달러) 등 다양한 후원 옵션이 마련돼 있으며 후원사에게는 VIP 좌석과 브랜드 노출 등 혜택이 제공된다. 티켓 및 후원 신청은 KCSF 공식 웹사이트에서 가능하다. 관련 문의는 김예원 이사 이메일 gala@kcsf.ca으로 하면 된다. https://www.kcsf.ca/sol-gala-tickets
사회
GTA 주택 침입 사건 잇따라… 본 지역서 40대 남성 사망
광역토론토지역(GTA)에서 주택 침입 사건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단순 절도를 넘어 폭력으로 번지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경찰은 일부 사건을 표적 공격(Targeted Attack)으로 보고 수사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 8월 31일(일) 새벽, 온타리오주 본(Vaughan)의 한 주택에 괴한들이 침입해 거주자 압둘 알림 파루키(Abdul Aleem Farooqi, 46세) 씨가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요크 지역 경찰은 현장에서 심한 외상을 입은 피해자를 발견했지만, 응급조치에도 불구하고 결국 사망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어두운 옷과 마스크를 착용한 3명의 용의자가 연루된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번 사건을 단순 강도가 아닌 표적 범행으로 규정했다. 사건이 일어난 안드리타 드라이브(Andreeta Dr.) 일대는 평소 조용하고 안전한 주택가로 알려져 있어 지역주민들은 큰 충격에 빠졌다. 한 이웃은 “9년간 살면서 이런 일은 처음 겪는다”며 “안전하다고 믿었던 동네가 한순간에 위협받고 있다”고 불안감을 토로했다. 스티븐 델두카(Steven Del Duca) 본 시장은 유가족에게 위로를 전하며 “본은 안전한 지역이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라면서 "시민들의 협조 없이는 경찰의 노력도 한계가 있다”고 강조했다. 경찰은 목격자 제보를 기다리며 주변에 의심스러운 상황이 발생하면 즉시 신고할 것을 당부했다. 전문가들은 최근 GTA 내 주택 침입 범죄가 재산 피해를 넘어 신변 안전까지 위협하고 있다며 주택 보안 강화와 이웃 간 긴밀한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건강
아침 물 한 잔에 공복 운동, 체지방 줄이는데 최고
건강 전문가들은 아침 공복에 마시는 물이 체지방 연소와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잠자는 동안 체내에 쌓인 노폐물을 배출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차가운 물보다 미지근한 물이 좋다고 권장했다. 또한 식사 30분 전 물을 충분히 섭취하면 포만감을 높여 과식을 예방할 수 있으며, 꾸준한 수분 섭취는 체중 관리와 피부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전문가들은 아침 기상 직후 5분 정도의 간단한 스트레칭도 권장했다. 손목·발목 돌리기, 어깨와 허리 풀기만으로도 혈액순환이 활발해지고, 근육에 산소 공급이 늘어나 하루 컨디션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아무것도 먹지 않은 상태에서 가볍게 하는 유산소 운동은 지방을 빠르게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게 한다. 대표적인 공복 운동으로는 빠른 걷기와 가벼운 조깅이 있으며, 혈압 조절과 복부 지방 감량에 효과적이다. 다만 당뇨병 환자는 저혈당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가 상담 후 진행해야 한다. 아침 식사를 거르면 점심에 폭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영양가 있는 아침 식사가 권장된다. 삶은 달걀, 채소, 견과류처럼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식단은 포만감을 오래 유지하고 비타민·식이섬유도 보충할 수 있다. 여기에 커피 한 잔은 장운동을 도와 배변 습관 유지에 효과적이다. 전문가들은 아침에 자연광을 20분 정도 쬐는 것도 강조했다. 햇볕은 비타민D 합성을 촉진해 칼슘 흡수를 돕고 골다공증 예방·면역력 향상에 효과적이다. 음식만으로는 비타민D를 충분히 섭취하기 어렵기 때문에 아침 햇살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설명이다.
교육
온타리오주, 고교 졸업 요건에 ‘재정문해력 시험’ 도입
온타리오주 정부가 내년부터 고등학교 졸업 요건으로 ‘재정문해력(financial literacy)’ 시험을 의무화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시행 시점을 2026년으로 미루면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이번 제도는 학생들에게 가정 예산 관리, 금융 사기 예방 등 생활 경제 전반에 필요한 역량을 길러주겠다는 취지에서 도입됐다. 학생들은 10학년 수학 과목 내에서 치러지는 재정문해력 시험에서 최소 70% 이상을 획득해야 졸업 자격을 얻을 수 있다. 오는 9월부터 적용할 예정이었으나 시행 준비 부족과 교육 현장의 우려로 1년 연기했다. 교육계에서는 이번 제도가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교육 전문가들은 시험 위주의 접근이 오히려 금융학습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릴 수 있다며 단순 평가보다는 포트폴리오나 프로젝트 기반 학습 등 체험형 금융교육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퀸스대학교 연구진은 “재정문해력은 단순히 시험으로 평가할 수 없는 역량”이라며 “실생활과 연계된 교육 방식이 도입돼야 학생들이 장기적으로 금융습관을 형성할 수 있다”고 제언했다. 온타리오 정부는 이번 제도를 통해 고등학교 졸업장을 더 가치 있게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시행이 늦어지면서 실제로 학생들에게 얼마다 도움이 될지, 아니면 학생과 학부모에게 부담만 늘릴지가 향후 관건이 될 전망이다.
사회
GTA 인접 도시 3곳 집중분석… 해밀턴·워털루·런던 어디가 좋을까?
광역토론토지역(GTA) 인근 도시인 해밀턴(Hamilton), 워털루(Waterloo), 런던(London)이 각기 다른 경제·교육·주거 특성으로 주목받고 있다. 세 도시는 토론토와의 근접성, 대학 및 산업 인프라, 주거 비용 등에서 차별성을 보이며 거주와 투자 대안지로 꼽히고 있다. 해밀턴은 과거 제철 산업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맥마스터 대학교(McMaster University)를 기반으로 교육·연구·문화도시로 변모했다. 토론토에서 이주한 젊은 층과 예술가들이 도심에 정착하며 갤러리·카페·문화 공간이 늘어났다. 평균 주택 가격은 76만 3,700달러로 전년 대비 약 9.5% 하락했으며 인구는 약 68만 명으로 꾸준히 증가세다. 워털루는 워털루 대학교(University of Waterloo)와 윌프리드 로리에 대학교(Wilfrid Laurier University)를 중심으로 성장한 교육·기술 도시다. 구글(Google),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블랙베리(BlackBerry) 등 글로벌 IT 기업과 스타트업이 밀집해 있고 최근 개통된 아이온 경전철(ION LRT)은 도시 교통 개선과 지역 발전을 지원하고 있다. 온타리오주 런던은 웨스턴 대학교(Western University)와 팬쇼 대학교(Fanshawe College), 대형 병원이 위치한 의료·교육 중심 도시다. 넓은 면적과 풍부한 녹지 공간 덕분에 가족 단위 거주에 적합하다는 평가가 많다. 다만 대중교통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라는 점은 아쉬움으로 지적된다. 결국 세 도시는 각기 다른 장점을 지닌다. 해밀턴은 저렴해진 주택 가격과 문화적 활력, 워털루는 대학과 IT 중심 성장, 런던은 의료·교육 기반의 안정성이 강점이다. 전문가들은 “거주나 투자 계획을 세울 때는 최신 시장 정보와 각 도시의 특성을 꼼꼼히 비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행사
토론토 하늘 수놓는 ‘CNE 국제 에어쇼’… 무료 관람 명소 공개
토론토의 대표 여름 행사인 캐나다 국제 에어쇼(CNE Air Show)가 오는 8월 30일(토)부터 9월 1일(월)까지 노동절 연휴 기간 동안 열린다. 올해로 76회를 맞는 이 항공쇼는 군용기와 시범 항공기들이 선보이는 화려한 묘기 비행으로 시민들과 관광객들의 눈길을 끌 예정이다. 관람객들은 티켓을 구매해 유료 구역에서 볼 수도 있지만, 도심 곳곳에서는 무료로 쇼를 즐길 수 있는 장소도 있다. 전통적으로 인기 관람 명소였던 온타리오 플레이스(Ontario Place)는 현재 대부분 공사로 일반에 개방되지 않아 올해는 무료로 관람할 수 있는 장소가 달라졌다. 시민들은 ▲코로네이션 파크(Coronation Park) ▲마릴린 벨 파크(Marilyn Bell Park) ▲셸던 룩아웃(Sheldon Lookout) ▲선사이드 비치(Sunnyside Beach) ▲트릴리움 파크(Trillium Park) 등에서 시원한 전망을 즐길 수 있다. 단, 마릴린 벨 파크의 경우 펜스 내부는 티켓 소지자 전용으로 외부에서만 무료 관람이 가능하다. 무료 관람 구역에는 많은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관람객들은 휴대용 의자, 간단한 스낵과 음료, 모자, 자외선 차단제 등을 준비하는 것이 좋으며, 좋은 자리를 확보하기 위해 일찍 도착하는 것이 좋다. 올해 에어쇼는 매일 정오부터 오후 3시 40분까지 진행된다. 주요 행사 장소는 마릴린 벨 파크(1095 Lake Shore Boulevard West)이며 토론토 전역에서 항공기의 역동적인 비행 퍼포먼스를 감상할 수 있다.
경제
캐나다 경기 침체 현실화… 2분기 GDP -1.6% ‘충격’
캐나다 경제가 뚜렷한 둔화 국면에 접어들며 경기 침체(recession) 우려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에 따르면 2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연환산 기준 -1.6%를 기록했다. 이는 전문가 예상치인 -0.6%를 크게 밑도는 수치로, 1분기에 이어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이다. 사실상 기술적 경기 침체에 진입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주요 원인은 미국의 고율 관세다. 캐나다의 핵심 수출품인 차량·철강·알루미늄이 직격탄을 맞으며, 수출 지표가 -7.5%로 추락했다. 이는 최근 5년 사이 최대 감소폭이다. 민간 부문 투자가 급격히 위축된 가운데, 정부 지출만이 유일한 버팀목이 됐다.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지출을 확대했지만, 전문가들은 “경제 성장에서 정부 지출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 구조적 불안정성을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자본 유출이 가속화됐다. 국내외 투자자들이 금융위기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캐나다 자본시장을 떠나고 있으며, 일부 성장세는 주택 시장에만 집중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실물 경제가 아닌 부동산 의존 성장”이라며 장기적 위험을 경고했다. 정부와 캐나다 중앙은행(Bank of Canada)은 여전히 “연착륙 가능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1인당 GDP 하락·생산성 저하·가계 지출 둔화 등 기초 체력 약화가 뚜렷하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상황은 단순한 경기순환적 하락이 아니라 구조적 위기”라며 “추가적인 정책 대응과 경제 체질 개선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한인단체
토론토한인회, 가을학기 문화강좌 수강생 모집
토론토한인회(회장 김정희)가 오는 9월 8일부터 10월 31일까지 8주간 진행되는 가을학기 문화강좌 수강생 모집에 나선다. 이번 학기에는 건강·예술·음악·인문·커리어·어학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돼 동포들이 배우고 즐기며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신체 건강을 돕는 ‘만병통치 건강체조’, 라틴댄스를 배우는 ‘라틴의 밤-자이브부터 바차타까지’, 그리고 ‘비비안 라인댄스’가 개설돼 참가자들이 즐겁게 운동하며 활력을 찾을 수 있다. 미술 분야에서는 ‘기초 크로키’, ‘연필스케치’, ‘어반스케치-수채화’ 과정이 초보자부터 심화 학습자까지 다양한 수준을 아우른다. 음악 분야에서는 ‘화요 플루트교실’, ‘색소폰’, ‘신바람 노래교실’이 운영돼 악기를 배우고 노래하며 음악적 소통을 경험할 수 있다. 인문 강좌로는 ‘그림책과 함께하는 마음 여행’, ‘쉽게 배우는 사주 명리학’이 준비됐으며, 커리어 분야에서는 ‘일상 속 디자인-캔바로 유캔두잇’, ‘College Essay & Writing Skill’ 수업이 제공된다. 또한 원어민이 직접 진행하는 ‘생활 영어회화’ 강좌도 열려 어학 실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수강료는 한인회원 80달러, 비회원 100달러이며, 각 강좌는 최소 5명 이상이 등록해야 개강된다. 가을학기 이후 겨울학기까지 이어져 꾸준한 학습이 가능하다. 김정희 회장은 “문화강좌는 단순한 취미 강습이 아니라 동포사회가 함께 배우고 성장하며 정체성을 공유하는 장”이라며 많은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수강 신청은 구글폼 또는 토론토한인회 사무실을 통해 가능하며, 문의는 전화 416-383-0777 또는 이메일 admin@kccatoronto.ca로 하면 된다.
많이 본 뉴스